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습관
- 부부관계
- 성공한자의 발걸음
- 4차산업혁명
- 트랜스휴머니즘
- 빌러비드
- 인생관
- 김훈
- 오십세
- 사소한차이
- 인생경영
- 자기계발
- 사소한 차이
- 엄마는강하다
- 4차 산업혁명
- 신사업동력
- 힐링
- 오블완
- 제임스 클리어
- 곰돌이 푸#행복#책
- 빚탈출
- 이타주의자
- 인생설명서
- 티스토리챌린지
- 부부갈등관리
- 홀로파는사람
- 좋은 기분
- 성과에 대한 보상
- 인생지침서
- 토니모리슨
- Today
- Total
나의 성장일기
책 잘 읽는 방법 본문
책 잘 읽는 방법
폼나게 재미나게 티나게 읽기
저자 김봉진
출판 북스톤 | 2018.3.6.
책 속으로
제가 소셜미디어에 책에 대한 글을 올리곤 하니 사람들이 저를 엄청난 다독가라고 생각하시곤 해요. 하지만 저는 어릴 적부터 책을 끼고 살았던 타고난 독서가는 아닙니다. 오히려 뭐랄까, 책 읽고, 읽은 내용을 써먹고, 은근히 자랑하기도 하는 ‘과시적 독서가’라고나 할까요. 안 읽던 사람이 갑자기 책을 읽으니 사람들이 궁금해합니다. 왜 그렇게 열심히 읽느냐고요. 그 질문을 받고 생각해봤어요. 사람들은 왜 책을 읽을까? 훌륭한 사람이 되려고? 성공하려고? 돈을 많이 벌려고? 삶의 위안을 얻으려고? 안 읽으면 안 될 것 같은 막연한 불안감 때문에?
운동선수가 매일매일 훈련한다고 해서 모두 세계적인 선수가 될 수 있을까요? 아닙니다. 책읽기도 마찬가지예요. 책을 많이 읽는다는 것만으로 성공한 삶을 보장받을 수는 없어요. 그럼 뭐 하러 힘들게 읽느냐고요? 책을 읽으면 잘 살 수 있느냐는 질문에 저는 이렇게 답해드리고 싶어요. 정해진 운명보다 조금 더 나은 삶을 살 수 있다고요. 우리의 삶은 수많은 크고 작은 결정들에 의해 만들어지는데요. 이때 ‘생각의 근육’을 키워두면 조금 더 좋은 결정을 할 수 있겠죠. 이런 것들이 쌓이면 정해진 운명보다 조금 더 나은 삶을 살지 않을까요. 그리고 혹시 모르죠, 운명조차 바꿔버릴지도요.
- ‘책 읽으면 잘 살 수 있냐고요?’ 중에서
책에 대한 잘못된 상식 하나는 읽던 책을 다 읽어야 다른 책을 읽을 수 있다는 거예요. 이것 때문에 다음 책으로 못 넘어가요. 그런데 생각해보세요. 책은 기본적으로 절반 이상 지나면 좀 지루한 게 사실이잖아요. 한 번쯤은 포기하고 싶은 위기가 와요. 모든 책을 다 읽어야 하는 것도 아니고요. 그런데 한 권을 끝내기 전에는 다른 책을 못 읽는다고 생각하니까 이 책도 못 읽고 저 책도 못 읽고, 거기서 책읽기 자체를 관두게 되는 거죠. 많은 분들이 다 읽지 않고 다른 책으로 넘어가면 낭비한 것처럼 느끼는데요. 카페에서 아메리카노 시켜서 두세 모금 마시고 나올 때 죄책감까지 느끼지는 않잖아요. 그저 좀 아깝다 하는 정도인데, 유독 읽지 않은 책에 대해서는 그런 걸 느끼죠. 이 저자의 생각이 깊고, 풀어가는 방식이 지루하지 않고, 내가 가지고 있는 생각을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게 해준다거나 몰랐던 사실을 알게 해주는 등 여러 조건들이 충족되어야 완독할 수 있어요. 책을 끝내지 못한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그냥 책에 미안한 생각을 버리고 쿨하게 여기세요.
- ‘읽지 않은 책에 죄책감 갖지 않기’ 중에서
하나의 주제를 정하고 세 권 이상 읽으면 해당 주제에 대해 어느 정도 식견이 생겨요. 이때 당장 쓸모 있는 것, 실무적이고 실용적인 것 외에 깊이 파고들 수 있는 주제를 정하는 게 좋아요. 이를테면 정의, 한국사 혹은 조선사, 로마사처럼 주제를 정하면 좋죠. 노동, 돈, 행복, 심리학이나 뇌과학이어도 좋고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알아보겠다고 정하고 두세 권 읽어도 좋고요. 저자를 정하고 그 저자의 책을 여러 권 읽어보는 것도 좋아요. 그러면 자연스럽게 인접 분야에 대한 관심도 생길 거예요. 관심 가는 주제로 책 읽는 것은 좀 더 능동적인 책읽기 과정이에요. 아무래도 어떤 책을 사야겠다는 생각 없이 서점에 가면 베스트셀러와 평대에 전시된 책들만 살 가능성이 큰데, 이런 책들은 마케팅으로 전시된 경우도 많고 당장의 이슈에만 머무를 수도 있거든요. 능동적으로 주제를 정하고 책을 읽으면 정해진 경로가 아닌 나만의 경로가 만들어질 거예요. 앞에서 말한 지혜의 놀이동산을 탐험하는 나만의 경로가 생기는 거죠.
- ‘당장 일과 상관없는 주제로 세 권 이상 읽어보기’ 중에서
'독서가 주는 힘 > 2023년 독서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면을 끓이며 (0) | 2023.11.30 |
---|---|
책 먹는 법 (0) | 2023.11.30 |
코스모스 (0) | 2023.11.30 |
인생에서 가장 후회되는 게 뭐냐고 묻는다면 (1) | 2023.11.29 |
나는 오십에 작가가 되기로 했다 (0) | 2023.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