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4차산업혁명
- 빌러비드
- 성과에 대한 보상
- 인생관
- 힐링
- 홀로파는사람
- 습관
- 부부관계
- 좋은 기분
- 오십세
- 토니모리슨
- 부부갈등관리
- 엄마는강하다
- 티스토리챌린지
- 사소한 차이
- 4차 산업혁명
- 인생설명서
- 신사업동력
- 사소한차이
- 자기계발
- 빚탈출
- 곰돌이 푸#행복#책
- 성공한자의 발걸음
- 제임스 클리어
- 김훈
- 인생지침서
- 트랜스휴머니즘
- 인생경영
- 이타주의자
- 오블완
- Today
- Total
나의 성장일기
완벽한 독서법 본문
2020년 일백 다섯번째 책

완벽한 독서법
모든 독서법을 관통하는 최고의 지침서
저자 김병완
출판 글라이더 | 2018.5.25.
독서를 통해 구하고자 하는 것이 있다면 임계점을 넘어서는 독서를 해야한다.
3년간 1천권 독서, 6년간 1천권 독서 정도의 다독을 해야 임계점을 넘을 수 있다.
독서는 맹목적으로 읽는 것이 아니라 자신에 맞는 독서법을 읶혀 임계점을 넘는 독서를 통해 자기계발해야 한다.
"성공이란 당신 자신을 좋아하는 것이고,
당신이 하는 일을 좋아하는 것이고,
당신이 그 일을 하는 방식을 좋아하는 것이다." - 마야 안젤루
‘우리는 왜 잘못된 방식으로 책 읽기를 하고 있는 것일까?’, ‘무엇이 얼마나 잘못된 것일까?’, ‘어떤 방법으로 책을 읽어야 하는 것일까?’ 이 책에는 필자가 독서를 해오며 독서법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고 답을 찾기 위해 분투한 과정과 나름의 답을 담았다. 보다 많은 이들이 이 과정과 답을 나누며 자신만의 효율적인 독서법을 찾았으면 하는 바람에서 《완벽한 독서법》을 집필한 것이다. 오늘도 책을 펼쳐놓고 눈으로 글자만 읽어가며 자신의 독서법이 잘못된 건 아닌지 고민만 하고 있지는 않는가? - 8쪽
독서는 눈으로 하는 것이 아니다. 독서는 뇌의 활동이고, 가장 고차원적인 인지 활동이다. 책을 읽었는데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하는 사람들이 많다. 여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첫 번째는 배경지식과 어휘력이 절대적으로 빈약한 경우다. 이런 경우는 아무리 천천히 읽어도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 두 번째는 이해력이 절대적으로 낮은 사람이다. 이해할 수 있는 근육, 이해하는 힘은 결국 눈이 아니라 뇌의 전두엽에서 나온다. 전두엽 중에서도 ‘전두전야’?라는 부위다. 이 부위를 평소에 많이 사용하여 활성화시킨 사람은 이해 근육과 이해 기능, 인지 능력이 높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해력과 인지 능력이 낮다. 그래서 책을 제대로 읽어낼 줄 아는 사람들이 그렇게도 적은 것이다. - 34쪽
인간의 눈은 책이 존재하기 전에 세상을 보는 것에 최적화되도록 만들어졌다. 그후 인간은 책이라는 것을 발명했다. 문제는 여기에 있다. 우리의 눈과 뇌는 독서에 최적화되지 않았기 때문에 독서의 기술, 효과적인 독서법이 필요한 것이다.
왜 책만 펼치면 잠이 올까? 눈이 지나치게 혹사당해서 기절하는 것이다. 책을 읽으면 눈이 급격하게 피로해지고 지치기 때문이다. 독서를 처음 시작할 때나 독서에 취미를 붙이고 독서광이 될 때, 눈이 급격하게 나빠지는 경우가 많은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 48쪽
위대한 리더와 평사원 중에 어느 쪽이 더 독서를 많이 할까? 리더다. 워렌 버핏, 빌 게이츠, 오프라 윈프리, 손정의 등의 인물들이 MBA나 대학 교육 학벌이나 해외 유학을 통해 성공의 결정적인 능력과 지혜와 용기를 얻게 된 것이 아니라, 많은 양의 책을 통해 성공하는 데 필요한 지혜와 지식과 용기와 통찰력과 사고와 의식의 도약을 모두 얻어낸 것이다. - 86쪽
독서의 임계점을 돌파한다는 것은 지식의 임계점을 돌파한다는 것이 아니다. 꾸준히 책을 읽는 사람들은 엄청난 양의 지식이 차곡차곡 쌓인다. 하지만 인생을 역전시킬 만큼 위대한 독서 혁명의 요체는 지식이 아니라 의식과 사고의 혁명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아인슈타인이 말했듯이 “상상력이 지식보다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지식의 차이는 크지 않지만 사고와 의식의 차이는 수백 배 이상으로 큰 간격이 생길 수 있는 무한한 특성과 힘과 에너지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 204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