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엄마는강하다
- 신사업동력
- 성공한자의 발걸음
- 이타주의자
- 오십세
- 김훈
- 홀로파는사람
- 인생관
- 부부갈등관리
- 제임스 클리어
- 인생경영
- 자기계발
- 빌러비드
- 인생설명서
- 트랜스휴머니즘
- 오블완
- 힐링
- 토니모리슨
- 사소한 차이
- 성과에 대한 보상
- 4차 산업혁명
- 좋은 기분
- 습관
- 빚탈출
- 사소한차이
- 곰돌이 푸#행복#책
- 4차산업혁명
- 부부관계
- 인생지침서
- 티스토리챌린지
- Today
- Total
나의 성장일기
나답게 살 용기 본문
2020년 일백 마흔 두번째 책

나답게 살 용기
내 삶의 주인이 되게 하는 아들러 심리학 카운슬링
출판 알에이치코리아 | 2015.11.20.
당신은 ‘나’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나요? 예를 들어 인간은 죽는다는 사실은 누구나 아는 것이고 머리로도 금방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른 사람이 아니라 ‘내가 죽는다는 것’은 과연 어떤 의미일까요?
굳이 이런 문제가 아니더라도, 다른 사람이야 어떻든 내가 특정한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할지, 또는 특정한 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할지 궁금하진 않은가요? 결국 우리는 자기 자신에 대해 잘 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모르고 있는 것이 아닐까요? -p28
무엇이 선인지, 다시 말해 무엇이 도움이 되는지는 멋대로 정할 수 없습니다. 음식을 달다, 쓰다, 맵다 등으로 판단하는 것은 사람마다 다르고, 잘못 판단한다고 해서 크게 해가 되지는 않습니다. 그렇지만 어떤 음식이 몸에 좋은지, 나쁜지는 각자 생각이나 취향에 따라 결정할 수 없습니다. 맛있다고 해서 무엇이나 얼마든지 먹어도 되는 것은 아닙니다.
행복도 마찬가지여서, 세상에서 말하는 행복의 조건이 자신에게도 반드시 해당되지는 않을 것입니다. 한편, 자신이 좋다고 생각하는 것이면 무엇을 하든 행복해질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괜찮다고 여기는 것이 실제로도 괜찮아야 합니다. 다른 사람 눈에 아무리 행복해 보이더라도 실제로 행복하지 않다면 아무 의미도 없겠지요. -p43
과거에 체험한 것이 지금의 행불행을 결정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 처한 상황과 과거의 체험은 성격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치기는 해도 행불행과 인과관계가 없습니다. 어릴 때 학대받았다고 해서 그런 사람들이 모두 똑같이 불행한 것은 아닙니다. 사고나 재해를 겪었다고 해서 반드시 마음의 상처(트라우마)가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한 정신과 의사가 아동 살상 사건을 경험한 초등학생을 상대로 인터뷰를 하면서, 이런 사건을 경험했기 때문에 언젠가는 반드시 문제가 될 것이라고 말한 적이 있습니다. 이 아이들이 성인이 되어 결혼했는데 결혼생활이 파탄난다면, 초등학교 때 살상 사건을 겪었기 때문일까요? 단지 두 사람의 관계에 문제가 있겠지요. -p53
다른 사람이 비록 칭찬해주지 않더라도 자기를 좋아할 수 있습니다. 스스로를 좋아하는 데 다른 사람의 평가는 필요치 않다는 의미입니다. 예를 들면 다른 사람에게 “너 참 재수 없는 사람이야”라는 말을 들었다고 해서(그런 말을 면전에서 하는 사람이 있을지는 모르지만), 그 말 한마디에 당신이 재수 없는 사람이 되는 건 아닙니다.
반대로 “너는 참 좋은 아이야”라는 말을 들었다고 해서 그 한마디로 좋은 사람이 되는 것도 아닙니다. 자기 가치가 다른 사람의 평가에 따라 떨어지는 일은 있을 수 없고, 애당초 다른 사람의 평가로 자기 가치가 결정되는 것은 더욱 아닙니다.
다른 사람이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전혀 아랑곳하지 않는 사람은 많지 않겠지만 모든 사람이 자신에 대해 비슷하게 평가하는 일은 있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애당초 다른 사람의 평가가 자신의 가...치를 결정할 수는 없습니다. -p116
부모든 사회든 남이 나한테 갖고 있고 또 가져야 한다고 은근히 또는 대놓고 명령하는 이미지에 맞추지 않으려면 용기가 필요합니다. 그 이미지는 다른 사람이 자기에 대해 갖는 기대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 이미지에서 벗어나면 자유로워질 수 있습니다.
좀 더 정확하게 말하면 남은 나에게 아무것도 기대하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횡단보도를 건널 때 차에 타고 있는 사람이 나를 빤히 쳐다보는 게 싫다는 사람이 있습니다. 차에 탄 사람은 무심히 보행자를 바라보기는 하겠지만 빤히 쳐다보지는 않을 것이고, 신호가 바뀌어 교차로를 빠져나갔을 때는 방금 횡단보도를 건너던 사람 따위는 까맣게 잊습니다. 물론 일상적인 대인관계는 이렇게까지 극단적이지는 않지만 다른 사람이 ‘모두’ 자기한테 기대를 한다는 것은 착각입니다. -p127
'독서가 주는 힘 > 2020년 독서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탈무드 (0) | 2020.12.17 |
|---|---|
| 손자병법 (0) | 2020.12.17 |
| 사랑은 상처를 허락하는 것이다 (0) | 2020.12.09 |
| 함부로 대하는 사람들에게 조용히 갚아주는 법 (0) | 2020.12.07 |
| 참 좋은 한마디 (0) | 2020.12.0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