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성장일기

춘추전국이야기. 5: 오월쟁패, 춘추 질서의 해체 본문

독서가 주는 힘/2020년 독서록

춘추전국이야기. 5: 오월쟁패, 춘추 질서의 해체

천진 김 2020. 12. 28. 11:59
728x90

2020년 일백 쉰 한번째 책

춘추전국이야기. 5: 오월쟁패, 춘추 질서의 해체

저자   공원국

출판   위즈덤하우스 | 2017.10.20.

 

 

 


춘추 질서의 해체와 전국시대의 도래라는 역사의 필연은 아이러니하게도 아비와 형을 잃은 한 인간의 가장 원초적이지만 퇴행적인 처절한 ‘복수’의 이야기로부터 점화된다. 그리고 그 복수는 또 다른 복수로 이어지고, 결국 역사 속에서 복수자 자신의 운명을 시험한다. 하지만 운명은 역사를 넘어설 수 없는 법. 한 인간의 복수의 집념이 초래한 역사의 격랑은 동병상련, 와신상담, 토사구팽 등 수많은 고사를 탄생시킨 오-월의 상쟁에서 최고조에 이른다. 남방 오랑캐 땅에서 벌어진 피비린내 나는 각축은 결국 ‘예禮’의 질서를 기반으로 한 춘추의 한 기둥을 무너뜨리고, 전 중원을 부국강병과 영토 확장을 위한 각국의 새로운 경쟁 시대로 이끈다. (중략)
이 처절한 싸움의 불씨는 누가 지폈던가? 꼭 한 명을 꼽으라면 초나라에서 온 망명객 오자서를 들겠다. 전국시대에는 사인士人이라는 하급 귀족 계급이 무리를 지어 국경을 넘어 떠돌아다녔다. 이른바 제자백가諸子百家의 무리들이다. 오자서 역시 제자백가의 한 부류였다. 객관적인 세상은 싸움으로 점철되었지만 “세상은 내 손으로 바꿀 수 있다”는 지사志士의 무리들에게 난세는 오히려 자신들의 이론을 갈고 닦을 호기였다. 전국시대는 이 유랑 지식인 집단의 이론이 만개한 시기이기도 하다. _ 22~23쪽, 〈책머리에〉 중에서

악행의 동기는 무엇일까? 보통은 이기심에서 악행을 저지른다지만 역사에는 이유를 찾으려 해도 특별한 동기 없이 악행을 저지르는 사람도 자주 등장한다. 어쩌면 그들은 자신의 행동이 악인지 모를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악인들의 공통된 특징이 있으니, 목적을 위해서라면 복잡한 음모도 한순간에 만들어내는 천재적인 재주를 가졌다는 점이다. 또 그들은 자신의 악행이 드러날 때까지는 항상 선량한 척한다. 그래서 그들은 권력자들의 신뢰를 얻고, 권력자들은 이 악인의 악행이 만천하에 드러날 때까지 그들을 비호한다. 하지만 권력자 역시 마지막에는 악인과 함께 사지로 들어간다. 오나라, 월나라, 초나라가 얽히고설킨 이 기나긴 이야기는 한 사람의 악인으로부터 시작된다. 악인이 지핀 작은 불씨 하나가 결국 활활 타올라 광폭한 복수극으로 바뀌더니 끝내 남방을 피로 물들인다. _ 38쪽, 〈제2장 복수극의 서막〉 중에서

이제부터 합려는 오자서의 책략을 써서 유격전을 개시하는데, 과연 이때부터 초나라에는 바람 잘 날이 없었다. 한번 건드렸다가 반격하려 하면 물살을 따라 도주하고, 군대를 거둬들이면 다시 도전했다.
오자서가 유격전을 제시한 그 이듬해, 오나라 군은 초나라로 망명한 서의 군주가 지키고 있는 이夷를 치고 잠과 육을 건드렸다. 심윤 술이 군대를 출격시켜 이 지역을 방어하자 오나라 군은 방향을 바꾸어 현弦을 침범했다. 심윤 술과 우사마가 예장까지 출격하자 오나라 군은 싸우지 않고 퇴각했다. 이렇게 초나라 일선의 병사들은 오자서의 전술에 지쳐갔고, 애초에 오자서를 상대할 능력이 되지 않는 초 영윤 낭와는 어쩔 줄 몰라 했다. 오-초 대전은 시시각각 다가오고 있었고, 오자서는... 한발 한발 그 기획을 실현시키고 있었다. 합려는 그 모든 것을 오자서에게 맡겼다.
이렇게 원한을 품은 사나이와 야망을 품은 사나이가 만나 의기투합했다. 그들은 음모로 왕위를 얻었지만 음모로 지킬 생각은 없었다. 그들은 시작은 작고 바르지 않았어도 끝이 크고 바르면 좋다는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었다. _163쪽, 〈제8장 오자서, 전쟁의 기획자〉 중에서

구천은 뛰어난 군주였다. 하지만 그는 생존의 법칙을 알았지만 공존共存의 법칙은 몰랐다. 그는 공신과 같이 가지 못했기에 그의 후손들이 신하들에게 줄줄이 죽었다. 승리를 지키려면 공존의 기술을 이해해야 한다.
부차는 왜 비참한 죽음을 맞이했는가? 물론 오자서를 죽인 검이 숨어 있다가 다시 그를 죽인 것이다. 그러나 부차를 노리는 검은 무수히 많았다. 애릉에서 소득 없이 죽은 수천의 장병들, 왕에게 본국의 화급을 알리러 갔다가 억울하게 죽은 일곱 사신, 먹을 것이 없는데도 운하를 파다 죽은 농부들. 그는 아버지 합려와 달리 아군을 죽이는 데 능했다. 그 모든 것이 모여 결국 국인들로 하여금 싸우지도 않고 그를 버리고 달아나게 만든 것이다. 그렇다면 초나라가 다시 강국으로 부활한 까닭은 무엇인가? 숨어 있는 칼을 만들지 않았기 때문이다. _ 330~331쪽, 〈에필로그〉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