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성과에 대한 보상
- 성공한자의 발걸음
- 제임스 클리어
- 오블완
- 인생경영
- 빌러비드
- 인생지침서
- 신사업동력
- 부부갈등관리
- 오십세
- 사소한 차이
- 트랜스휴머니즘
- 좋은 기분
- 곰돌이 푸#행복#책
- 엄마는강하다
- 인생관
- 습관
- 사소한차이
- 홀로파는사람
- 4차산업혁명
- 4차 산업혁명
- 인생설명서
- 티스토리챌린지
- 이타주의자
- 토니모리슨
- 빚탈출
- 김훈
- 부부관계
- 힐링
- 자기계발
- Today
- Total
나의 성장일기
인문학적 성장을 위한 8개의 질문 본문
인문학적 성장을 위한 8개의 질문
창조적 일상으로 이끄는 김종원의 사색 에세이
저자 김종원
출판 나무생각 | 2020.5.13.
오디오북으로 이 책을 들으며 많이 망설이게되었다.
인문학이라는 분야가 나에게 주는 의미는 무엇일까?
내가 성장하기 위해서 무엇을 중심에두고 이 책을 듣고 있는 것인가?
우리는 성장을 꿈꾸소 성공을 염원한다 그렇기에 왕도를 찾기를 원한다.
그런 길이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받아들이지 못하고 무협지의 한 순간 마냥 어느 도인을 만나 기연을 얻고 성장하기를 바란다.
성장을 위한 왕도가 끈기라는 것을 알아야한다.
읽기 위한 독서는 우리를 단순히 배부르게 하지만, 멈추기 위한 독서는 우리를 끝없는 성장의 세계로 이끈다. 나는 당신이 이 책을 공격하듯 읽지 않기를 바란다. 끝을 보는 건 매우 사소하고 재미없는 일이다. 끝까지 빠르게 읽었다는 사실은 우리에게 그 무엇도 남기지 않는다. 그저 중간에 멈추지 못했다는 사실에 아파하길 바란다. 당신은 모두를 위해 달리는 선수가 아니라, 자기 자신을 위해 달리는 사람이다. 보여주기 위한 모든 삶에 작별을 고하라. 그리고 끊임없이 질문하라.
“어디에서 멈춰야 하는가?” “어디에서 시작해야 하는가?”
우리의 인생도 마찬가지다. 성장하는 삶을 살고 싶다면 적절한 때를 알아야 한다. 이 책에서 제시한 인문학적 성장을 위한 여덟 가지의 질문으로 오늘부터 시작해보라. 당신의 모든 삶이 근사하게 바뀔 것이다. -〈본문 13쪽〉 중에서
인간은 불완전하게 태어났으므로, 사는 내내 자신을 완성해나가야 한다. 그래서 인문학적 사고가 필요하다. 물론 인문학은 모두가 아는 지식이다. 그러나 아무도 가지지 못한 가치이기도 하다. 그것은 일상이라는 무대를 만나야 가치를 발하기 때문이다. 그러자면 열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여기에서 실수하는 사람이 많다. 열정은 뜨겁게 달군 무기를 앞세우고 나가는 것이 아니라, 바라만 봐도 뜨거운 그것을 내 안에 넣어두고 평화롭게 다스리는 것이다. 자신을 고요하게 유지하라. 그것이 가장 뜨거운 열정이다. -〈본문 14쪽〉 중에서
나는 자주 무너진다. 멈추기 위해 책을 읽는 것처럼 우리가 자꾸만 무언가를 쌓는 이유도 결국에는 무너지기 위해서다. 사랑과 사람, 지식과 경험을 언제까지 쌓기만 할 수는 없다. 살면서 가끔 완전히 무너지고 싶은 날이 우리를 찾아온다. 그럴 때는 나중 일은 아예 생각하지 않고 영영 일어서지 못할 사람처럼 무너지는 것도 좋다. 그 무너짐이 누군가를 향한 사랑이든, 무언가를 향한 그리움이든, 일상과 사람에 대한 것이든, 대상은 중요하지 않다. 소중하게 쌓아 올린 그것들을 모조리 무너뜨린다고 해서 세상이 끝나는 게 아니다. 무너뜨린 그 자리에서 사랑은 다시 시작된다. 다시 생명이 자라고 일상의 행복을 추구하며 살게 된다. 나는 알고 있다. 이성을 놓으면 감성으로 살 수 있고, 그때 보이는 세상이 얼마나 근사한지…. 그렇게 다른 세상을 만나 몰랐던 사랑을 깨닫게 된다. 근사하게 무너지는 것도 창조의 기술 중 하나다. -〈본문 23~24쪽〉 중에서
당신의 삶은 무엇을 위한 삶인가? 단순히 오해와 비난을 받지 않기 위해 수백 명을 찾아다니며 변명하는 삶인가, 아니면 자신에게 집중하며 보냄으로써 자유를 누리는 삶인가? 굳이 변명하지 않고도 당신의 삶으로 진실을 증명할 수 있다. 당신이 자기 자신에게 집중하면 수백 명, 아니 수천 명의 마음도 얻을 수 있다. 그렇게 얻은 마음은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 나는 분명히 그렇게 말할 수 있다. 당신의 삶 자체가 당신에게서 떠나갈 수 없는 모든 증거이므로. 혼자로 남는 것은 피하거...나 숨는 것이 아니라, 존재의 근거를 만드는 시간이다. -〈본문 121~122쪽〉 중에서
'독서가 주는 힘 > 2022년 독서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곰돌이 푸 이야기 전집 (0) | 2022.03.16 |
---|---|
노자 도덕경 (0) | 2022.03.16 |
너에게 주고픈 아름다운 시 (0) | 2022.02.18 |
어떤 물질의 사랑 (0) | 2022.02.18 |
한비자 (0) | 2022.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