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 제임스 클리어
- 신사업동력
- 성공한자의 발걸음
- 오블완
- 인생경영
- 빚탈출
- 홀로파는사람
- 힐링
- 4차 산업혁명
- 성과에 대한 보상
- 빌러비드
- 곰돌이 푸#행복#책
- 오십세
- 김훈
- 좋은 기분
- 습관
- 4차산업혁명
- 부부관계
- 인생지침서
- 티스토리챌린지
- 자기계발
- 사소한 차이
- 이타주의자
- 인생설명서
- 트랜스휴머니즘
- 토니모리슨
- 엄마는강하다
- 부부갈등관리
- 인생관
- 사소한차이
- Today
- Total
나의 성장일기
인생의 절반쯤 왔을때 읽어야할 채근담 본문
2019년 마흔 다섯번째 책
인생의 절반쯤 왔을 때 읽어야 할 채근담
- 저자 홍자성 역자 박훈
출판사서평
삶의 한가운데서 삶을 끌어안으라!
깨진 독에 물을 가득 채울 수 있는 단 하나의 방법, 그것은 깨진 독을 그대로 물속에 던져버리는 것이다. 어쩌면 우리 삶을 온전히 끌어안을 수 있는 방법 역시 삶의 밖이 아닌 삶의 한가운데서 찾아야 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채근담』이 인생 수양서 중 첫손가락으로 꼽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학자나 사상가들의 허울 좋은 문장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인생의 진정한 고락苦樂을 아는 사람만이 전할 수 있는, 지극히 대중적이며 지극히 생활적인 처세서인 것이다.
맛의 진미와 사람의 진가는 담박함 속, 질리지 않음에 있다!
『채근담』에서 ‘채근’은 송나라의 학자 왕신민汪信民이 “인상능교채근즉백사가성人常能咬菜根卽百事可成”이라고 한 데서 나온 말로, 사람이 항상 나물 뿌리를 씹을 수 있다면 세상 모든 일을 다 이룰 수 있다는 뜻이다. 사람들은 혀를 자극하는 맛을 통하여 음식의 맛을 찾고자 하지만 사실 맛의 진미는 담박함 속, 질리지 않음에 있다. 사람 역시 마찬가지이다. 알아갈수록 진국인 사람은 사실 한눈에 드러나지 않는 법이다. 나서지 않는, 드러내지 않는 사람 가운데 진실 된 내면을 갖춘 이가 있다. 우리는 이런 사람을 알아볼 수 있는 눈을 키워야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이런 참된 사람이 되어야 한다. 자극적인 맛으로 표현되는, 조금만 더 가까이 하면 금세 물려버리고 마는 사람이 아니라, 먹을수록 참맛이 느껴지는 담박한 음식처럼 알아갈수록 진국인 사람이 되어야 한다.
삶에 정답은 없다고 하나같이 입을 모아 말한다. 그러나 『채근담』을 읽다 보면 삶의 정답은 분명 있는 듯하다. 그리고 그 정답이 ‘어슴푸레하게’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