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Tags
- 티스토리챌린지
- 4차산업혁명
- 트랜스휴머니즘
- 부부갈등관리
- 인생설명서
- 성과에 대한 보상
- 좋은 기분
- 이타주의자
- 습관
- 성공한자의 발걸음
- 사소한차이
- 오십세
- 김훈
- 제임스 클리어
- 신사업동력
- 힐링
- 자기계발
- 토니모리슨
- 인생관
- 곰돌이 푸#행복#책
- 부부관계
- 엄마는강하다
- 오블완
- 빚탈출
- 빌러비드
- 사소한 차이
- 4차 산업혁명
- 인생지침서
- 인생경영
- 홀로파는사람
Archives
- Today
- Total
나의 성장일기
2019 ICT 트렌드 본문
728x90
2019년 아흔 여덟번째 책
2019 ICT 트렌드
새로운 비즈니스와 투자의 흐름이 보이는
- 저자 크로스테크랩 , 김재필 외 2명
- 출판 한스미디어 2018.11.5.
- 세상이 변해가는 것을 새삼 돌아보게 하는 책이다.
- 내가 본격적으로 IT 프로그래밍을 시작한 시기는 19976년 부터 였다.
- 회사의 업무 시스템을 개발하는 팀이 생겨서 지원하고 시작하게되었다.
- 항상 관심이 있었지만 쉽게 접근하기가 어려웠던 것이라 시작하지 못하고 있다가 시작한 것인데 벌써 20년이 훌쩍 넘은 세월이 되었다.
- 그동안 많은 변화를 겪어 왔지만 지금의 IT세상은 또다른 신세계인 것 같다.
- 요즘 4차 산업혁명에 관한 책들을 읽어 나가고 있는데 그 중 한권의 책이다.
- 이 책은 앞으로 다가올 ICT 트랜드를 분석한 책이다.
- 뭐 대부분의 내용은 읽어 왔던 4차 산업혁명의 책들에서 제시했던 내용들이었다.
- 인공지능, 5G, 자율주행차, 드론, 3D프린터 등의 내용은 대동소이했다.
- 2018년 말 우리나라는 세계최초로 5G망의 상용화를 선포했다.
- 그리고 물밀듯이 관련 스마트폰이 쏟아져 나왔다.
- 물론 휴대폰을 사용하는 요금제도 높아졌기는 하다.(부담이 살작 된다.)
- 이 책에서 내가 새롭게 접한 용어는 테크핀과 양자컴퓨터다.
- 테크핀은 알리바바의 CEO인 마윈이 만든 용어로 은행위주의 금융인 핀테크를 넘어서 기술이 주가되는 금융이란 것이다.
- 양자컴퓨터란 말은 영화등으로 들어보기는 했지만 무엇을 의미하는지는 잘 몰랐다.
- 컴퓨터는 0과1로 연산을 처리한다.
- 그러나 양자컴퓨터는 0과1 그리고 둘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컴퓨터라는 것을 알았다.
- 다음 책 속으로
- 5G 시대로 넘어가면 어떻게 될까? 아마도 가장 큰 변화는 ‘손안의 인터넷’이 아니라 내 주위의 모든 것이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시대로 바뀔 것이다. 그리고 스마트폰에 국한되어 있던 데이터 통신은 자동차, 헬스케어, 공장, 스마트시티 등 전 산업 영역으로 확산될 것이다. 여기서 창출되는 시장 규모는 상상 이상이다. 그러면 5G로 창출되는 부의 가치는 얼마나 될까?
KT경제경영연구소가 국내 최초로 분석한 ‘5G 이동통신 도입에 따른 사회·경제적 파급 효과’ 보고서에 따르면 자동차, 제조, 헬스케어 등의 10개 산업 및 스마트시티, 스마트홈 등의 4개 기반 환경에 대해 5G가 제공하는 사회·경제적 가치는 2025년에 최소 30조 3,235억 원, 2030년에는 최소 47조 7,527억 원에 달할 전망이다. 이는 해당 연도의 예상 국내총생산GDP의 약 2% 수준으로 어마어마한 금액이다. 그 어떤 시장보다도 엄청난 ‘돈이 보이는’ 시장이 아닐 수 없다. - 2부 〈1장 미래 한국 사회의 원동력,차세대 네트워크 5G가 온다〉 중에서
글로벌 조사기관인 트랜스페어런시마켓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P2P 대출 시장은 2017년 약 65조 원 규모에 달하였으며 2024년에는 약 16배 성장하여 1,000조 원을 돌파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글로벌 P2P 시장의 트렌드와 유사하게 국내 P2P 대출 시장도 급격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한국P2P협회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5년 373억 원 규모에서 2018년 7월 기준으로 2.3조 원으로 4년이 채 못 된 기간 동안 약 62배나 성장하였으며 P2P 기업 수도 2015년 34개에서 2018년 61개로 거의 2배나 늘었다. 크라우드연구소에 따르면 2018년 7월 기준으로 협회에 등록되지 않은 기업까지 포함하면 160여 개에 육박한다고 한다. (중략)AI의 발전에 따른 맞춤형 자산 관리 서비스인 로보어드바이저 시장도 빠른 성장이 예측되는 분야다. 글로벌 통계분석 기업인 스테이티스타에 따르면, 글로벌 로버어드바이저의 관리 금액은 2018년 453조 원에서 2022년에는 1,619조 원으로 약 3.6배 성장이 예측된다. 또한 로보어드바이저의 기술 향상에 따른 대중화도 예상하였는데, 로보어드바이저를 활용한 자산 관리 고객은 2018년 2,578만 명에서 2022년에는 1조 2,000만 명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였다. - 2부 〈4장 개인화된 금융 서비스, 테크핀〉 중에서
부동산에 ICT 기술이 접목된 ‘프롭테크’(prop-tech)가 부동산 시장의 새로운 먹거리로 떠오르고 있다. 프롭테크는 부동산(Property)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부동산 데이터를 이용한 사업·서비스 혹은 이를 제공하는 기업을 뜻한다. 부동산 중개부터 임대, 프로젝트 개발, 투자 유치 등 활용 영역도 넓다. 휴대폰을 통해 내 예산에 맞춰 부동산 매물을 찾고 현장에 직접 가지 않고도 가상현실을 통해 부동산을 살펴볼 수도 있다. 모바일 앱으로 법률 자문, 자금 대출 등도 가능하다....
전 세계적으로 프롭테크 산업은 성장세를 달리고 있다. 한 연구 자료에 따르면 세계 프롭테크 기업 수는 4,000개를 넘었으며 투자 유치액도 78억 달러에 이른다. 미국과 영국 등 선진국에서는 이미 프롭테크가 스타트업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미국의 시장조사 기관인 CB인사이트에 따르면 프롭테크 기업 투자금은 2012년 2억 624만 달러에서 2013년 4억 5,100만 달러, 2014년 10억 1,590만 달러, 2015년 19억 9,100만 달러, 2016년 26억9,800만 달러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 2부 7장 〈테크와 산업이 만나 삶의 질이 높아진다: 프롭테크, 에듀테크, 푸드테크〉의 〈부동산 시장의 새로운 먹거리, 프롭테크〉 중에서 - 관련 서평 및 자료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twinny11&logNo=221423573245
-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nilsine11202&logNo=221583497384
'독서가 주는 힘 > 2019년 독서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죽음의 수용소에서 (0) | 2019.11.25 |
|---|---|
| 세상에서 가장 발칙한 성공법칙 (0) | 2019.11.18 |
| 당신은 뇌를 고칠 수 있다. (1) | 2019.11.13 |
| 포노 사피엔스 (0) | 2019.11.07 |
| 바보들은 항상 결심만 한다. (0) | 2019.11.05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