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
| 2 | 3 | 4 | 5 | 6 | 7 | 8 |
| 9 | 10 | 11 | 12 | 13 | 14 | 15 |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 30 |
- 성과에 대한 보상
- 이타주의자
- 부부갈등관리
- 김훈
- 트랜스휴머니즘
- 사소한차이
- 인생지침서
- 곰돌이 푸#행복#책
- 티스토리챌린지
- 토니모리슨
- 빌러비드
- 엄마는강하다
- 습관
- 제임스 클리어
- 4차 산업혁명
- 인생설명서
- 부부관계
- 오십세
- 좋은 기분
- 오블완
- 4차산업혁명
- 자기계발
- 성공한자의 발걸음
- 힐링
- 신사업동력
- 홀로파는사람
- 인생경영
- 빚탈출
- 인생관
- 사소한 차이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725)
나의 성장일기
우리는 언제나 흔들리는 가치관의 혼란 속에서 살아간다. 내가 가지고 있는 철학은 바람 앞의 등불일 때가 있다. 자신이 가지고 있는 신념이나 가치를 지켜나가는 것이 힘든 데는 다 이유가 있는 것이다. 그래서 그것을 지키고 나간 이들을 우리는 영웅, 선구자, 지도자라고 말하는 것이다. 자신이 생각하지도 못하는 변수가 자신의 의지를 무너뜨리는데는 순간이다. 바람에 흔들리는 갈대처럼 이리 저리로 마음이 흔들리고 생각에 혼돈이 자리하게 된다. 요즘 리더에 관한 책을 읽고 있다. 내가 지금까지 생각하고 있던 리더의 생각이 여지없이 무너지게 만드는 책이다. 물론 시대적 기간이 조금 전의 책이지만 내 가치를 흔들기에는 충분한 책이었다. 세상의 가치는 시간이 지나면서 새로운 옷으로 갈아입기도 한다. 그러다 보니 예전의 ..
오늘은 동생이 주거래 계좌를 만들러 방문했다. 내가 신용 업무로 나오고 아는 사람도 많지 않지만 어려울 때마다 도와주는 분들이 나와서 실적을 만들어가고 있다. 항상 감사한 일이다. 그래도 감사한 일들이 자꾸 생겨서 행복한 하루였다. 언제나 내게 도움을 주신 분들께 감사한 마음으로 돌려드릴 수 있는 삶을 살도록 해야겠다. 내가 받은 도움을 나도 다른 사람에게 줄 수 있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 그것이 내게 도움을 주신 분들의 은혜에 보답하는 길일 것이다. 잔잔한 호수에 떨어진 조약돌이 파동을 일으켜 점점 커져나가듯이 말이다. 내 감사함을 다른 이에게 전하는 것이 가장 좋은 보답인 것 같다.
성공을 위한 조언에는 많은 말들이 있다. 그중 하나로 '한 우물을 파야한다.'는 옛 속담이 있다. 그 말은 '일만 시간의 법칙'과 같은 말일 것이다. 어느 한 분야를 집중적으로 파고들면 그 방면에서는 최고의 성과를 얻을 수 있다는 말이다. 그런데 세월이 변하면서 그 말에는 오해가 있다는 얘기들이 나왔다. 일만 시간의 법칙을 말할 때 발명가 에디슨의 말인 '천재는 1퍼센트의 영감과 99퍼센트의 노력으로 이루어진다.'는 말이다. 이 말에서 노력이 중요하다는 말이 나왔고 누구라도 한 분야에 1만 시간을 투자하면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법칙이 나온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노력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1퍼센트의 영감에 집중한다. 단순 반복적인 일이 아니라면 99프로의 노력보다는 1프로의 재능이 성공을 좌우할..
보지 않아야 할 것을 보았다. 보고 나면 번민에 휩싸여 감정을 추스르지 못할 것 같은데 본 것이다. 우리는 힘든 삶을 살았는데 그들은 즐거운 삶을 살고 있었다. 남에게 상처 주지 않으려 살았는데 정작 우리는 상처를 받았고 그들은 평안한 삶을 살고 있는 것이다. 나는 그들의 행복에 상처를 내고 싶다. 내가 겪은 것만큼 상처를 받았으면 좋겠다.
상대가 스스로 움직이게 하는 데는 여러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누군가에게는 그 조건이 금전일 수도 있고 신뢰일 수도 있다. 아니 다른 무언가일 수도 있다. 하지만 막상 상대가 움직이도록 설득하려면 그 방법을 몰라 어찌하지 못할 때가 있다. 기업은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직원의 실적 향상을 원한다. 그리고 성과를 얻기위해 인센티브를 내걸거나 질책을 가하기도 한다. 경영의 방식에는 당근과 채찍의 원리라는 것이 있다. 성과를 내는 자에게는 적절한 보상체계를 갖추어 상을 제공하고 그렇지 못한 자에게는 벌을 내린다는 것이다. 성장하지 못하는 조직의 CEO는 채찍을 벌로 생각한다. 여기서 채찍이란 뒤처지는 사람의 재 교육을 통한 성장을 도우라는 것이라 생각한다. 물론 재 교육에도 변하지 않는 자라면 당연히 그에 상응..
